< goodmi1 님의 블로그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9

장보고 해상무역 /장보고, 해상왕, 동아시아무역 신라 중기의 장군이자 무역인이었던 장보고(787-846)는 단순한 군인이 아니라, 신라의 해상왕이며 동아시아 해상 무역의 거목으로 동아시아 해상 실크로드를 지배한 국제 전략가였다. 그는 청해진을 거점으로 해상 무역과 군사적 세력을 장악하고, 해적을 소탕하했으며 신라와 당, 일본을 연결하는 교역망을 구축했다. 지금도 전라남도 완도에 가면 청해진 유적의 산실인 '장도(일명 장군섬)'가 있다. 장좌리 앞바다에 전복을 엎어놓은 것처럼 둥글넓적한 섬이 장도이다. 당시의 유적으로 장도에 외성과 내성이 있었다고 전해 지며 현재 유적지성역화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이 글에서는 장보고의 인물적 배경, 청해진 설치와 무역 경영 방식, 국제 외교 및 군사 전략을 중심으로 그의 해상 제국이 어떤 구조였는지 분.. 2025. 5. 26.
광종의 과거제 실시 /광종, 과거제도입, 왕권강화 고려 제4대 왕 광종(재위 949-975)은 혼란했던 초기 고려의 기틀을 세우고 민생을 안정시키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958년에 과거제를 실시했다. 이는 단순한 관리 등용 제도가 아니라, 호족 중심의 권력 구조를 재편하고 유능한 신진 세력을 발굴하기 위한 대담한 정치 개혁이었다. 본문에서는 과거제 도입의 시대적 배경, 광종의 정치 전략과 의도, 그로 인한 국가 운영 체계의 변화와 역사적 의의를 살펴본다.1. 고려 초기 정치 구조와 광종의 즉위 배경고려는 918년 왕건의 건국 이후 비교적 빠르게 한반도를 통일했지만, 통일 직후의 정치는 안정과는 거리가 멀었다. 고려 초기는 각 지역의 호족들이 국가 통치의 실질적인 주체로 군림하던 호족 연합 체제였으며, 왕실은 이들을 기반으로 한 느슨한 중앙 권력을 행사하.. 2025. 5. 25.
왕건의 후삼국 통일 /왕건, 후삼국통일, 고려건국 혼란의 후삼국 시대를 통일하고 고려를 창건한 왕건은 뛰어난 외교력과 포용적 리더십으로 분열된 민심을 하나로 모았다. 그는 단순한 무력 통합이 아닌 신라·백제·후고구려의 유산을 융합하여 새로운 국가 질서를 창조하였고, 이후 고려 500년 역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 글에서는 왕건의 성장 배경, 통일 전략, 국가 건설 과정, 그리고 그 역사적 의의를 총체적으로 분석한다.1. 후삼국 시대의 혼란과 왕건의 등장9세기 후반부터 신라는 급격한 쇠퇴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왕권은 약화되고, 귀족 세력의 이권 다툼은 치열해졌으며, 지방에서는 반란이 끊이지 않았다. 이러한 와중에 진성여왕 대의 농민 봉기, 각지의 호족 세력 성장, 그리고 외적의 침입은 중앙정부의 통제력을 무력화시켰다. 이러한 혼란의 결과로, 후고구려(.. 2025. 5. 25.
이성계의 개국 / 이성계, 조선건국, 위화도회군 고려 말기, 내부 부패와 외침, 권력 투쟁의 혼란 속에서 한 무장은 역사의 물줄기를 바꾸는 선택을 한다. 바로 태조 이성계이다. 그는 위화도 회군이라는 결단을 통해 고려의 체제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창건했다. 그러나 그 과정은 단순한 군사 쿠데타가 아니었다. 시대정신을 읽고 백성의 삶을 되돌아보며, 유교적 명분을 기반으로 한 국가 재설계였다. 이 글은 이성계의 부상 배경, 위화도 회군의 정치적 의미, 그리고 조선 건국 이후 국가 체제 수립 과정을 다각도로 조명한다.1. 고려 말 혼란과 이성계의 부상 — 시대적 배경과 영웅의 등장14세기 후반 고려 사회는 내부적 부패와 외부적 위협으로 극심한 혼란기를 맞이하고 있었다. 고려는 원나라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주적인 체제를 마련하려 했지만, 이후 급속히 부패한 권문.. 2025. 5. 25.
이황의 성리학과 후대 영향 /이황, 성리학, 조선유학 퇴계 이황은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유학자이자 성리학 이론의 완성자로, 인간의 본성과 도덕 실천을 중시한 철학적 사유로 조선 사상사에 깊은 발자취를 남겼다. 그의 철학은 단순한 학문에 그치지 않고 교육, 정치, 사회윤리에까지 영향을 주었으며, 동아시아 유학 발전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 글에서는 이황의 생애, 그의 성리학 이론의 핵심, 후대 및 국제적 영향까지 입체적으로 분석한다.1. 퇴계 이황의 생애와 학문적 배경 — 조선 성리학의 중심인물퇴계 이황(1501~1570)은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성리학자이자 교육자, 정치가였다. 본관은 진보, 자는 가도, 호는 퇴계이며, 안동 출신이다. 그는 조선 유학을 철학의 경지로 끌어올린 사상가로 평가받으며, 일본, 중국에도 그의 학문은 널리 전파되어 동아시아 유학.. 2025. 5. 24.
이이의 사상 /율곡이이, 조선성리학, 십만양병설 율곡 이이는 조선 중기의 대표적 유학자이자 실천적인 정치가로, 이기일원론에 기반한 성리학 체계와 함께 강력한 개혁정신으로 조선 사회의 기강을 다지고자 했다. 그는 십만 양병설과 같은 군사 개혁안부터 인재 등용, 교육 제도 개선 등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정책들을 제안했으며, 이는 조선 후기 실학과 근대 사상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이 글에서는 율곡 이이의 철학적 기반, 정치개혁안, 그리고 그의 사상이 미친 후대의 영향을 입체적으로 분석한다.1. 율곡 이이의 생애와 철학적 기반 — 성리학의 이기일원론과 인간 중심의 유학율곡 이이(1536~1584)는 조선 중기 대표적인 유학자이며 정치가이다. 본관은 덕수, 자는 숙헌, 호는 율곡으로, 조선시대 여성 교육의 상징인 신사임당의 아들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어.. 2025. 5. 24.